IT나 개발 관련 뉴스에서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나오죠? jtbc 협상의 기술 드라마에서도 이런 용어들이 나오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백엔드, 블록체인?" 처음 보면 어려울 수 있지만, 실제 예시와 함께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어요! 오늘은 IT·개발 업계에서 자주 쓰이는 6가지 용어를 쉽게 풀어볼게요.
어려운 설명 없이, 가볍게 읽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어요.
글 다 읽으시고, 제일 밑에 드라마에서 나온 비지니스 용어도 확인해보시면 도움되실거에요. 꼭 같이 보세요.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 모든 것을 디지털로 바꾸는 과정
📌 뜻
기업이 기존의 업무 방식에서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변화하는 것
💡 쉽게 말하면?
- "예전엔 서류로 문서를 관리했지만, 이제는 모든 걸 클라우드에 저장!"
- "은행 창구에서 대기하던 시대 → 이제는 스마트폰 뱅킹으로 해결!"
📌 실제 사례
- 은행 → 지점 방문 없이 비대면 계좌 개설 가능
- 식당 → 종이 메뉴판 대신 QR코드로 모바일 주문
- 병원 → 종이 차트 대신 전자차트 도입
🔹 정리하자면!
기업과 사회가 디지털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과정이에요.
2️⃣ 백엔드(Backend) – 겉으로 안 보이지만 중요한 시스템
📌 뜻
우리가 눈으로 보지는 못하지만, 서비스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시스템
💡 쉽게 말하면?
- "자동차의 엔진 같은 역할! 겉으로는 안 보이지만, 없어선 안 되는 핵심 요소"
- "우리는 카카오톡 화면(프론트엔드)만 보지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처리하는 건 백엔드!"
📌 실제 사례
- 카카오톡 → 메시지를 보내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 유튜브 → 동영상을 저장하고,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 서버
🔹 정리하자면!
눈에 보이진 않지만,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이에요.
3️⃣ 플랫폼(Platform) – 사업이 이루어지는 무대
📌 뜻
사용자들이 모여서 거래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소’
💡 쉽게 말하면?
- "쇼핑몰을 직접 운영하는 게 아니라, 쇼핑할 수 있는 공간(무대)을 제공!"
- "배달 음식을 직접 만들지 않지만, 식당과 고객을 연결해주는 서비스!"
📌 실제 사례
- 네이버, 구글 → 사람들이 정보를 검색하고 광고를 볼 수 있는 플랫폼
- 배달의민족, 쿠팡 → 음식점과 고객을 연결하는 플랫폼
- 에어비앤비 → 호텔이 아닌 숙소 제공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 정리하자면!
사용자들이 모이고, 거래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장터 같은 역할!
4️⃣ 이커머스(E-commerce) – 온라인에서 쇼핑하는 것
📌 뜻
상품을 온라인에서 사고파는 모든 과정을 의미해요.
💡 쉽게 말하면?
- "전통적인 시장이나 마트가 아니라, 인터넷에서 쇼핑하는 것!"
- "쿠팡, 11번가, 네이버 쇼핑이 대표적인 이커머스 플랫폼"
📌 실제 사례
- 네이버 쇼핑, 쿠팡, 11번가 →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
- 마켓컬리 → 신선식품을 새벽 배송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상점
- 무신사, W컨셉 → 의류 쇼핑몰도 이커머스의 대표적인 예시
🔹 정리하자면!
우리가 인터넷으로 물건을 사고파는 모든 과정을 의미해요.
5️⃣ 블록체인(Blockchain) –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술
📌 뜻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는 게 아니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해서 해킹이 어렵게 만든 기술
💡 쉽게 말하면?
- "파일을 한 컴퓨터에 저장하는 게 아니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나눠 저장!"
- "한 사람이 데이터를 조작해도, 다른 컴퓨터들이 원본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거짓말이 불가능!"
📌 실제 사례
- 비트코인, 이더리움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
- NFT (대체불가능토큰) →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방식
- 디지털 계약 시스템 → 중간 관리자 없이, 블록체인 기술로 자동 계약 진행
🔹 정리하자면!
데이터 조작이 어려운 보안성이 강한 기술!
6️⃣ 유저락인(User Lock-in) – 고객이 한 서비스에 머물게 만드는 전략
📌 뜻
사용자가 한 번 서비스를 이용하면,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전략
💡 쉽게 말하면?
- "아이폰을 쓰면 계속 아이폰을 쓰게 되는 이유!"
- "카톡을 쓰면 다른 메신저로 옮기기 어려운 이유!"
📌 실제 사례
- 애플 생태계 → 아이폰 + 맥북 + 아이패드 → 서로 연결이 잘 돼서 다른 브랜드로 바꾸기 어려움
- 넷플릭스 추천 알고리즘 → 영상을 보면 볼수록 내 취향에 맞는 콘텐츠 추천 → 끊기 어려움
- 스타벅스 멤버십 → 스타벅스 카드로 포인트 적립 → 다른 커피 브랜드로 쉽게 옮기지 않음
🔹 정리하자면!
한 번 사용하면 계속 머무르게 만드는 강력한 고객 유지 전략!
🔎 결론: IT·개발 용어, 이제 쉽게 이해됐나요?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모든 것을 디지털화하는 과정
✅ 백엔드 → 보이지 않지만, 서비스의 핵심 시스템
✅ 플랫폼 → 사용자들이 모여 거래하는 무대
✅ 이커머스 → 온라인에서 쇼핑하는 모든 과정
✅ 블록체인 → 데이터 조작이 어려운 보안 기술
✅ 유저락인 → 고객이 쉽게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전략
드라마 속 비지니스 용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확인하세요!
협상의 기술 속 피보팅, 캐시카우, 듀딜리전스? 비즈니스 용어 한 번에 이해해봐요
드라마나 비즈니스 관련 뉴스를 보면 알 듯 말 듯한 용어들이 많이 나오죠. 스타트업이나 창업 이야기에서도 피보팅, 캐시카우, 듀딜리전스 같은 생소한 단어들이 등장하는데, 처음 들으면 헷갈
felices.tistory.com
JTBC 협상의 기술 ‘앵커 효과(Anchoring Effect)’ 등장! 협상에서 승리하는 심리학 기술
JTBC 협상의 기술 ‘앵커 효과(Anchoring Effect)’ 등장! 협상에서 승리하는 심리학 기술
최근 방영 중인 JTBC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서 ‘앵커 효과(Anchoring Effect)’라는 용어가 등장해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협상 심리학에서 핵심 전략으로 꼽히는 ‘앵커 효과’는 앵커링 효
felices.tistory.com
JTBC 협상의 기술 ‘이스터에그’가 뭐야? 숨겨진 의미는?
JTBC 협상의 기술 ‘이스터에그’가 뭐야? 숨겨진 의미는?
최근 방영 중인 JTBC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서 ‘이스터에그(Easter Egg)’라는 단어가 등장해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드라마를 보다 보면 가끔 제작진이 의도적으로 숨겨놓은 요소들을 발
felices.tistory.com
드라마 '협상의 기술' 속 ‘개발자 유머’, 이게 대체 무슨 뜻일까?
드라마 '협상의 기술' 속 ‘개발자 유머’, 이게 대체 무슨 뜻일까?
최근 방영된 JTBC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서 등장한 ‘개발자 유머’ 장면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이 장면을 본 시청자들 중 일부는 "도대체 무슨 뜻이야?", "이게 왜 유머야?"라며 혼란스러워했을
felices.tistory.com
📌 이 글을 읽고 나면
- IT 뉴스에서 나오는 용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 개발자와 대화할 때 조금 더 친숙한 용어를 사용할 수 있어요.
가장 생소했던 용어는 무엇인가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적률이 뭐야? 서울시, 소규모 재건축 용적률 최대 300% 완화 (0) | 2025.03.17 |
---|---|
이준호, 벨루티 글로벌 앰배서더 발탁! 그런데 벨루티가 뭐야? 앰배서더 뜻은? (0) | 2025.03.17 |
협상의 기술 속 피보팅, 캐시카우, 듀딜리전스? 비즈니스 용어 한 번에 이해해봐요 (0) | 2025.03.17 |
드라마 '협상의 기술' 속 ‘개발자 유머’, 이게 대체 무슨 뜻일까? (1) | 2025.03.17 |
JTBC 협상의 기술 ‘앵커 효과(Anchoring Effect)’ 등장! 협상에서 승리하는 심리학 기술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