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사용법

각설하고 뜻, 사용 법, 예시, 동의어, 유의어 정리

Felices 2021. 6. 17. 13:54
반응형

‘각설하고’라는 표현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일상에서 자주 쓰지는 않지만, 쓰는 분들은 꾸준히 사용하는 말입니다. 특히 고지식한 사람들만 쓰는 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각설하고’의 뜻과 사용법, 예시, 동의어 및 반대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각설하고’라는 표현이 왜 쓰이는지,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각설하고’의 뜻과 유래

‘각설하고’를 이해하려면 먼저 원형인 ‘각설(却說)’을 알아야 합니다.

① ‘각설(却說)’의 한자 의미

  • 却(물리칠 각): 물러나다, 피하다, 거절하다
  • 說(말씀 설): 이야기하다, 설명하다

이를 조합하면 **‘기존의 말을 물리친다’**라는 뜻이 됩니다.
즉, 지금까지 하던 말은 그만두고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② ‘각설하다’의 사전적 의미

  • 기존에 하던 이야기를 접고, 화제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일반적으로 ‘각설하고’라는 형태로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즉, ‘각설하고’는 지금까지의 대화를 정리하고, 본론으로 넘어갈 때 쓰는 표현입니다.
‘여기까지 한 이야기는 접어두고, 중요한 이야기를 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각설하고’의 올바른 사용법과 예시

‘각설하고’는 이야기를 정리하고 본론으로 넘어갈 때 사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① 장황한 이야기를 정리하고 요점을 말할 때

  • "야~ 너 정말 오랜만이다! 어떻게 지냈어? 요즘 뭐 해? 왜 이렇게 연락이 안 돼!
    각설하고, 너 돈 좀 있어?"

② 회의나 발표에서 핵심 내용을 짚을 때

  • "김 부장님, 회의 내용 잘 들었습니다.
    각설하고, 요점이 무엇인가요?"

③ 서론이 길어질 때 화제를 전환할 때

  • "처음 뵙겠습니다. 날씨가 좋네요! 제가 여기 오다가 재미있는 걸 봤어요.
    각설하고, 오늘 만난 이유는 이 때문입니다."

④ 듣는 사람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 "이야기가 길어졌죠? 각설하고, 핵심만 말씀드리겠습니다."

📌 ‘각설하고’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쓸 수 있지만, 다소 권위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3. ‘각설하고’의 동의어 & 비슷한 표현

‘각설하고’는 주제를 전환할 때 쓰는 한자어입니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순우리말 표현도 많습니다.

① ‘각설하고’의 동의어 (같은 의미)

  • 어쨌든
  • 아무튼
  • 여하튼
  • 하여튼
  • 어떻든

📌 이 표현들은 모두 기존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다음 이야기로 넘어갈 때 사용됩니다.

② ‘각설하고’의 유사 표현 (비슷한 의미)

  • 요점은
  • 그건 그렇고
  • 하고자 하는 말은

📌 이 표현들은 앞의 내용을 정리하고, 핵심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③ ‘각설하고’의 반대말

‘각설하고’는 이야기를 정리하는 표현이므로, 반대말은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는 표현입니다.

  • “말이 길어지지만”
  • “한 가지 더 이야기하자면”
  • “이야기가 길어질 수 있지만”

📌 이러한 표현들은 기존의 이야기에서 벗어나지 않고, 계속 말을 이어나갈 때 사용됩니다.


4. ‘각설하고’는 어떤 사람들이 자주 사용할까?

‘각설하고’라는 표현은 일반 대화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특정한 상황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① 공식적인 발표나 강연에서

  • 발표자가 서론을 마무리하고 본론으로 넘어갈 때
  • 강연자가 분위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예) "이제 서론은 끝내고,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② 인터넷 방송 & 유튜브 콘텐츠에서

  • 유튜버가 본론을 강조할 때
  • ‘각설하고’라는 표현이 시그니처로 사용될 때

예) "제가 너무 말이 많았죠? 각설하고, 지금부터 핵심 내용을 짚어보겠습니다."

 

📌 유튜브, 인터넷 방송에서는 말이 길어질 때 ‘각설하고’를 활용하여 시청자의 집중력을 높입니다.


5. ‘각설하고’의 올바른 활용법 & 주의할 점

‘각설하고’는 다소 권위적이고 문어체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격식 있는 자리에서는 자연스럽게 사용 가능
  • 친구와의 대화에서는 너무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음

사용하면 좋은 상황

✅ 회의, 보고서, 발표에서 핵심 요점을 짚을 때
✅ 강연이나 유튜브에서 말을 정리하고 본론으로 넘어갈 때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은 상황

🚫 일상 대화에서 너무 자주 사용하면 어색할 수 있음
🚫 상대방이 연령대가 낮거나 친근한 대화에서는 다소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음

📌 자연스럽게 사용하려면 문맥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결론: ‘각설하고’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 ‘각설하고’는 기존의 내용을 정리하고, 본론으로 넘어갈 때 사용하는 표현
✔ 주로 격식 있는 자리나 공식적인 발표에서 많이 사용
✔ 유튜브, 인터넷 방송에서도 시청자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활용됨
✔ ‘어쨌든’, ‘요점은’, ‘그건 그렇고’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음

 

📌 ‘각설하고’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는 표현이 아니므로,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맞는 한글 사용법은?

 

‘우리나라 vs. 저희나라’ 올바른 표현은? 헷갈리는 한글 사용법 정리!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저희나라”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가 맞는 표현인 이유와 ‘저희나라

felices.tistory.com

내로라하다와 내노라하다 맞는 한글 사용법은?

 

‘내로라하다 vs. 내노라하다’ 헷갈리는 표현 완벽 정리!

“손흥민은 프리미어리그의 내로라하는 공격수다” vs. “손흥민은 프리미어리그의 내노라하는 공격수다”어느 표현이 맞는 걸까요? 많은 사람들이 ‘내로라하다’와 ‘내노라하다’ 중 어떤

felices.tistory.com

 

다르다와 틀리다의 차이

 

‘다르다 vs. 틀리다’ 헷갈리는 표현 완벽 정리!

“전문가는 다르다” vs. “전문가는 틀리다”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 많은 사람들이 ‘다르다’와 ‘틀리다’를 같은 의미로 착각해서 사용하지만, 사실 이 두 단어는 완전히 다른 뜻을 가

felices.tistory.com

 

띠다와 띄다의 한글 사용법

 

‘띠다 vs. 띄다’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정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지만 ‘띠다’와 ‘띄다’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 “그는 중요한 임무를 띠고 있다.” ✔ “그 문장은 띄어 써

felices.tistory.com

 

빌어와 빌려의 사용법

 

‘빌어 vs. 빌려’ 올바른 사용법과 차이점 정리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빌어’와 ‘빌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입니다. 특히 “이 자리를 빌어”와 “이 자리를 빌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오늘

felice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