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별세…그의 업적과 갑작스러운 사망에 대한 모든 것”

by Felices 2025. 3. 26.
반응형

2025년 3월 25일, 삼성전자 부회장이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을 총괄하던 한종희 부회장이 심장마비로 별세했습니다. 향년 63세. 전날까지도 정기 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 앞에서 삼성전자의 비전과 사업 전략을 직접 설명했던 그였기에, 갑작스러운 부고 소식은 업계와 대중 모두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한종희 기업인(출처:나무위키)


1. 한종희 부회장의 생애 및 주요 경력

  • 출생: 1962년 3월 15일
  • 고향: 천안시
  • 사망: 2025년 3월 25일(향년 63세)
  • 학력: 천안고등학교 졸업,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 입사: 1988년 삼성전자 영상사업부 개발팀

그는 입사 이후 30년 넘게 삼성전자의 영상·디스플레이 관련 사업에 몸담으며,
특히 삼성 TV가 19년 연속 세계 시장 1위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주요 보직

  •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그룹장
  • 상품개발팀장
  •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 DX 부문장(2021년 ~ 별세 시까지)

2021년 말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모바일, TV, 가전 등 삼성전자 소비자 전자사업 전반을 이끄는 DX 부문 수장이 됐습니다.


2. 그가 남긴 기술 비전과 업적

한 부회장은 단순한 관리자 그 이상이었습니다.
그는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명확한 목표 아래 기술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연결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강조했습니다.

  • TV 부문:
    퀀텀닷 기술을 도입해 QLED TV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였고, 마이크로 LED와 라이프스타일 TV 등으로 라인업을 다변화했습니다.
  • DX 통합 전략:
    모바일, 가전, TV 등 삼성의 소비자 제품을 하나의 사용자 경험으로 연결하는 ‘디바이스 경험(DX)’ 전략을 주도했습니다.
  • 친환경 경영: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재활용 소재 사용을 확대하며 삼성전자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이어갔습니다.

3. 삼성 조직과 업계에 미칠 영향

삼성전자는 현재 사업 구조가 세분화되어 있는 만큼, 각 부문장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DX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4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사업 영역으로, 부회장의 리더십 부재는 삼성 내부에 적지 않은 공백을 만들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수요 둔화, 가전시장 경쟁 격화 등으로 경영 환경이 어려운 가운데 그의 별세는 향후 삼성의 전략적 대응과 의사결정 구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 평가됩니다.


4. 장례 일정 및 빈소 안내

  • 빈소: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 발인: 2025년 3월 27일 오전
  • 장지: 비공개

삼성전자는 조용하고 차분하게 장례를 치르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공식 조문도 일부만 받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5. 대중의 반응 및 향후 인사 전망

한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에 대해 국내외 언론과 주요 인사들은 애도를 표하고 있습니다.

  • 블룸버그통신: “삼성의 소비자 가전 전략을 재정립한 핵심 인물의 부재는 회사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
  • 로이터: “이재용 회장과 함께 호흡을 맞춰온 삼성의 내부 중추가 사라졌다.”

향후 DX 부문을 이끌 후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후임 인사는 공식 발표되지 않았으나, 내부 승진 혹은 외부 전문가 영입 등 여러 시나리오가 거론됩니다.


마무리

한종희 부회장은 단순한 엔지니어를 넘어, 삼성전자의 기술 리더이자 전략가로 기억될 것입니다.

 

그가 이끌던 삼성 DX 부문은 기술 중심의 사용자 경험 혁신을 선도해 왔고, 그 비전은 앞으로도 삼성 내에 남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반응형

댓글